우리 센터만 그런건진 모르겠는데, 아무튼 봄방학이나 겨울방학 등등.. 아이들은 쉬지만 선생님들은 쉬지 않는 기간에, 저희들은 보통 교육을 받아요! 돈이 좀 있다면 컨퍼런스나 워크샵, 강사 초빙등으로 좀 더 퀄리티 있는 교육을 받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엔 ECE들이 CCA들을 위한 프레젠테이션을 하게 된답니다... %ED%99%94%EB%82%A8%20%EB%8F%99%EA%B8%80%EC%9D%B4 그러니까 일년에 얘기할 거리가 4~5개는 있어야하는거죠.


좀 되긴 했지만 저번에 있던 봄방학 사이에도 ECE들이 교육을 담당했는데요, 제가 했던 것은 교실 실내 환경 디자인에 관한 거였어요. 실질적으론 디자인보다는 교실에 맞는 환경~ 에 관한 내용이 컸지만!





교육을 위해 만든 방 배치도




재작년엔 본사에서 일했으니까 좀 더 작은 교실이었는데.. 작년엔 교실이 커서 비율이 좀 안맞을지도 모르겠네요 ㅋㅋㅋ 그림판으로 대충 그린것이기 때문에... 아 지금보니 창문도 빼먹었네요. 


중요한건 아니니까! %ED%98%B8%ED%83%95%20%EC%9C%A0%EB%A0%B9 넘어가죠 뭐


CCA 대부분이 저희 반에도 와 본 적이 있기 때문에 이해하기 그렇게 어렵진 않았어요. 처음 보시는 분들은 저게 대체 뭘 표현한거냐 싶을 수 있겠지만... 저희 반입니다 ㅋㅋ큐ㅠㅠㅠ 보시다시피 스태프가 쉴곳은 없습니다!! 아가의자에 쪼그려 앉아야 해요!



아무튼 영어가 서툰 저와 다른 CCA들을 위해 시청각 자료는 풍부할 수록 좋죠. PPT를 만들어봤습니다



다들 표지만 꺼내놓고도 말 잘하던데. 전 할 말이 없어서 오늘 이거에 대해 설명할게요 ^^; 이러고 바로 넘어가벌임..



PPT는 역시 써있는 대로 읽어야 제맛이죠... 제 컨셉은 짧고 빠르게 끝내자였습니다


환경 디자인을 할때 고려해야 할 상황~ 블라블라.. 하고 우리는 child care이니까 children을 고려해야 한다! 라고 강조하고 넘어갔어용


그리고 실제 반에서 찍은 우리 애들 모습을 동영상으로 보여줬습니다 ㅋㅋㅋ 약간 뮤지컬처럼 커튼이 촤르륵 하고 뙇 나타나는 걸 하고 싶었는데 퀄리티가 구리긴 하죠잉... 입금이 좀 더 된다면 업그레이드를 시킬 수 있는데 말입니다.



아무튼 우리 애들은 뛰어난 발연기를 선보여주었구요. 모두들 즐거운 무비타임 보냈습니다. 특히 마지막에 우리 한살 아가가 형아 의자에 앉기 위해 발버둥치다 오를 수 없는 나무라는 것을 깨닫고 절망하며 마마! 마마!!!! 하고 외치는 장면은 모두의 눈물을 쏙 빼놓기 충분했다고 자신합니다.



아무튼.. 어린애들 환경에는 좀 더 고려해야 할 상황이 있는 법이죠... 메인 주제는 디자인보다는 Learning Centre였습니다.


자료는 애니님 블로그 참조했어요! 


https://blog.naver.com/minjeong1719/221222117650




블라블라 이러쿵저러쿵 말빨로 커버치는 곳입니다. 시각은 짧게 청각은 길게. 그래야 있어보이거든요


이건 학교에서 배웠던 것. 직사각형 교실이 있다고 생각하고


적당히 네구역으로 나눠줍니다. 그리고 조용한 곳, 시끄러운 곳, 젖는 곳, 마른 곳 이렇게 나눠주면

 


이런 네 구역이 완성됩니다. 그 안에 어떤 Learning centre를 넣을지는 자유예요!



PPT는 파일첨부해두겠습니당.


Learning+centre.pptx



 입으로 설명해서 PPT에 적혀있지 않은 것도 하단 메모 부분에 적혀 있어요. 캐나다에서 ECE 컬리지 다니시는 분들은 아직 쓸만하지 않으려나...


동영상은 뺐습니다 ㅠㅜ 아이들 초상권은 중요하니까요...






처음 캐나다에서 유아교육을 공부하기로 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이 그렇지만 저도 영어가 제일 큰 걱정거리였어요 

%EA%BF%88%EB%BB%91%EA%BF%88%EB%BB%91 대체 뭘 공부해가면 될까...?


그도 그럴것이 학교에서 단어장 내어주고 그거만 외워서 단어시험을 치고.. 했던 한국의 중학생활과는 달리, 필리핀에서 고등학교 생활을 할때에 필요했던 영단어는 기초적이지만 학교에서는 배울수 없었던 그런 단어들이었거든요.


친구들과 대화를 하면서 쓰는 단어, 학교에서 쓰게 되는 단어... 그리고 이제는 더 나아가서 대학교에서 조별과제를 하고, 실습을 나가 일을 하면서 쓰는 단어들을 알아야한다고 생각하니 겁이 덜컥 났더라죠! %EB%86%80%EB%9E%8C%20%EC%9C%A0%EB%A0%B9


생각과는 달리 학교에서는 외국인이니 괜찮다는 배려 덕분에 그렇게 걱정할 것은 아니었지만, 만일 대학교도 못가고 일을 하러 오게 되는 분이라면 공부를 좀 하시는게 좋답니다! 


그래서 정리해보는 캐나다 유아교사를 준비할때 필수인 영단어모음집-☆ 땨란 %EC%8B%A0%EB%82%A8%20%EB%8F%99%EA%B8%80%EC%9D%B4


학교에서 배우게 되는 조금 더 전문적인 단어들은 학교에서 배우면 되고, 일단은 굉장히 기초적이면서 영어로는 잘 모를수도 있는 그런 것들을 작성해 볼게요~



1. 유모차 - stroller

2. 공갈젖꼭지 - pacifier/sucker/dummy/binky.... 별칭이 여러가지 있는 모양이에요 ㅋㅋㅋㅋ pacifier을 제일 자주 써요.

3. 기저귀 - diaper 

4. 응가 - poop / poo (아이가 기저귀/바지에 똥을 싸서 똥범벅... 이다 응가를 했다~ 라는뜻으로 poopy 라는 단어를 쓰기도 해요.

5. 쉬야 - pee

6. 아가용 변기 - potty

7. 티슈 - kleenex / facial tissue / tissue

8. 휴지 - toilet paper

9. 출석부 - attendance

10. 구급상자 - first aid kit

11. 응급(상황) - emergency

12. 상처 - wound/injury

13. 사고 - accident (서류상에서 주로 흔히 일어나지 않는 큰 사고를 의미합니다. 따로 incident라는 단어를 쓰지 않으면 다 accident라고 표현해요. 큰 사고는 팔다리가 부러지거나, 뇌출혈, 알러지쇼크, 발작 등등을 의미합니다. 평소에 얘기할 땐 작은 사고를 의미하기도 해요.)

14. (흔한)사고 - incident (흔히 일어나는 작은 사고를 의미합니다. 넘어지거나 어디 끼어서 난 작은 상처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15. 보고서 - report

16. 휴가(방학) - vacation (휴식을 위한 휴가를 의미합니다. 몇몇 daycare는 방학을 해서 잠시 닫기도 하고요, 때에 따라 아이들도 부모님을 따라 휴가를 떠나서 결석하는 경우가 있어요.)

17. 휴가(사유가 있는)- leave (출산휴가나 직계가족의 장례/혼인 등으로 인한 휴가 등등 사유가 있는 휴가들을 의미합니다.)

18. 아이들 미술용 앞치마 - smock (미술용으로 주로 미끈한 방수천으로 만들어져있어요.)

19. 아이들 턱받이 - bib

20. 아이들 옷/신발/가방 등 보관함 - cubby (마당에 아이들용 플레이하우스 지어주는걸 cubby house 라고도 해요)

21. 바람개비 - spinwheel

22. 흔들목마 - rocking horse

23. 흔들의자 - rocking chair

24. 킥보드 - scooter

25. 세발자전가 - tricycle

26. 원반 - frisbee

27. 정리시간 - tidy up time / clean up time

28. 간식 - snack

29. 휴식시간 - break time / recess

30. 쌍안경 - binoculars

31. 청진기 - stethoscope

32. 망원경 - telescope

33. 현미경 - microscope (쌍안경~현미경까지 자주 쓰지는 않지만 아이들이 물어보면 제일 크게 당황하는 단어들....%ED%98%B8%ED%83%95%20%EC%9C%A0%EB%A0%B9)

34. 촉감놀이상자 - sensory box / sand table / water table (주로 모래랑 물을 많이 넣어놔서...)

35. 반짝이 가루 - sparkles/glitter

36. 반짝이 풀 - glitter glue

37. 설탕가루 (컵케잌 등 베이킹에 사용되는 색색깔의 데코설탕) - sprinkles


기초적인건 더 생각이 안나네요 ㅋㅋㅋㅋ 생각나는 대로 후에 추가하겠습니다.




다음은 Emotion! 감정입니다. 아이들의 마음에 공감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아이가 느낀 감정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은 단어들이에요.



1. amused/hilarious - 즐거운

2. delighted - 아주 기쁜

3. astonished - (내가)깜짝 놀란

4. surprised - (너를)놀라게 하다

5. silly - 바보같은 (우리나라에서는 애들한테 바보같다고 안하는것 같은데 여긴 silly를 굉장히 많이써요 ㅋㅋㅋ 그냥 천방지축? 같은 느낌..ㅋㅋㅋㅋ)

6. wonder/curious - 호기심 가지다

7. happy - 행복한

8. modest - 점잖은

9. contented - 느긋한

10. shy / bashful - 수줍은, 부끄러운

11. gratitude / grateful - 감사하는

12. determined - 결심한

13. composed - 침착한

14. serene - 평온한

15. angry - 화난

16. afraid - 무서워하는

17. indignant - 분한

18. loathing - 지겨움

19. disgust - 구역질나는

20. hate - 싫어하는

21. disappointed - 실망한

22. sneaky - 비열한

23. annoyed - 짜증나는

24. sad - 슬픈

25. depressed - 우울한

26. exhausted - 기운없는/기운빠진

27. weepy - 눈물젖은/눈물어린

28. cranky - 짖궂은 / 까다로운

29. confused - 혼란스러운

30. absorbed - 열중하는


이외에도 과일/채소/동물 등등 구글에 fruit/vegetable/animal + vocabularies 등등의 단어 조합으로 이미지 검색하면 아이들용으로 차트가 쭉 나와요. 그것만 알아둬도 일하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어요!


쓰고나니 별게 없네 %EC%97%89%EC%97%89%20%EB%8F%99%EA%B8%80%EC%9D%B4 사실 구글에 키워드만 잘 정해서 서치하면 문제없이 저 단어들을 다 습득할 수 있답니당..!



제가 이직 이후 현재까지 일하고 있는 센터는 다른 일반 데이케어와는 조금 달라요.


이민/난민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 단체에 소속되어있기 때문에 non-profit, government funding으로 운영된답니다.

예전에 volunteer했던 YWCA와 비슷한 느낌도 있는데, 생각보다 큰 단체랍니다. %EB%AF%B8%EC%86%8C 


제가 이직했을 시기엔 건물을 하나 새로 지울 정도로 정부 지원이 조금 들어왔던 때였어요. 한창 난민들이 많이 들어올 때였거든요. 그래서 지금은 이민자보단 난민들에게 초점이 더 맞춰져있어서, 대부분의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은 소말리아나 시리아 같은 내전지역 사람들이예요. %ED%98%B8%ED%83%95%20%EC%9C%A0%EB%A0%B9


어쨌든 데이케어를 하는데 필요한 모든 비용. 그러니까 professional development나 conference나 workshop은 물론, 반을 꾸미는데 드는 재료비나 놀이에 필요한 장난감 등등은 정부다 기업에서 다 지원해주는 돈을 써요. 적어도 ECE가 개인돈을 쓸 필요는 거의 없어요.


매니저도 선생님들이 원하는 놀이/데코를 하는데에 지원을 아끼지 않아서, 마음대로 달라라마에 가서 지르고, 영수증만 보여주면 돈을 돌려준답니다. 물론 한달 리미트는 있긴한데 꽤 flexible한 편이에요. 최근엔 지원이 조금 줄어서 보고서를 잘 써서 지원을 더 받는데에 주력하고 있어요.%EC%97%89%EC%97%89%20%EB%8F%99%EA%B8%80%EC%9D%B4


저는 이것저것 만드는 것을 좋아해서 아이들이 놀고 남은 종이쪼가리나 잘 쓰지 않아 쌓여있던 재료등등을 이용해서 최대한 다 만들어보려고 하고있어요. %EC%8B%A0%EB%82%A8%20%EB%8F%99%EA%B8%80%EC%9D%B4 처음 일을 시작했을 때엔 아직 방학중인 8월이었기 때문에 워크샵에 참여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에서 놀러가는거에 끼어가서 놀기도 하지만, Office 일과 daycare 준비 일을 병행하고 있어요. 아무래도 office쪽은 처음이라 힘들었지만 그래도 다들 친절하게 가르쳐줘서 즐거워요 %EC%A2%8B%EC%95%84 지금은 오히려 Office쪽이 맞지 않나 생각해요.




저희 차일드케어는 오직! 복지센터에서 운영하는 영어나 기타수업 및 워크샵에 참여중인 부모님들의 아이들만 받아요. 그러니까 아이들이 차일드케어에 오려면, 부모님도 아이들이 반에 있는 시간동안 수업을 듣고 있어야해요. 그래서 아이들 기저귀도 부모님이 갈게하고, 다른 문제가 생겨도 다 부모님들 불러서 처리하기 때문에 선생님들의 부담이 현저히 적답니다. 대신 아이들이 6개월~6세가 다 섞인 반이라는 단점이 있어요.


일단 정부에서는 지원을 보통 학교의 스케쥴에 맞춰 주기 때문에 초중고 아이들이 방학에 들어가는 기간 (5~9월)까지는 우리도 방학을 해서 쉰답니다. 그동안은 펀딩이 없으니까요 %EC%97%89%EC%97%89%20%EB%8F%99%EA%B8%80%EC%9D%B4 이 기간에는 선생님들도 다른 데이케어에서 파트타임으로 잠시 일하거나, 쉬어요.




로케이션은 새로 생긴 곳까지 하면 3개정도 있는 모양인데, 저는 첫 해에는 새로 생긴 곳이 아닌, 원래 있던 건물에서 일을 하게 되었어요.

복지단체에서 이민/난민자들에게 집도 제공하는데 그 중 집 하나를 비워서 데이케어로 활용하고 있답니다. 때문에 가정집 구조를 하고 있어 어떻게보면 꾸미기 참 난감하고 어려웠어요. %ED%99%94%EB%82%A8%20%EB%8F%99%EA%B8%80%EC%9D%B4





개학을 하면 가을이기도 하고, 아이들이 어떤것에 흥미를 가질지 모르겠어서 일단은 계절에 맞추어 분위기를 바꾸어보려고 노력했었어요.

들어가자마자 보이는 것은 나뭇잎과 잠자리 모빌~


거실은 물론 각 방 창문마다 나뭇잎 가랜드를 만들어서 걸었어요. 첫해엔 열정이 가득한게 보이네요 ㅋㅋㅋ 수작업이라니...! %EA%BF%88%EB%BB%91%EA%BF%88%EB%BB%91 

가정집다운 소파도 있었답니당. 굉장히 편했었어요 ㅠㅠ

 

sensory area에는 나무를 세워놨었어요. 모빌에 쓰고남은 잠자리도 하나 붙이고!

나뭇잎을 붙였다 뗄 수 있어서, 아이들도 요리조리 옮겨 붙여가기도 하고, 겨울이 다가오는게 느껴질 때쯤 하나씩 떼어내는 활동도 했었어요.



창문에 널어놓은 나뭇잎들 ㅋㅋㅋㅋ 저 나뭇잎들을 다 오렸다니... 미쳤었나봐여



아기방.. 이라고 구색은 갖춰놨는데 CMAS 규정상 infant를 데리고 있기엔 방 크기가 작아서.. 결국 규정에 어긋나기도 하고, 애들도 딱히 저 방안에 얌전히 있지도 않고 해서 그냥 아가용 장난감을 모아두는? 곳이 되었었지요.




스태프들끼리 사이도 돈독하고 난민/이민자들을 상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니만큼, 서로의 문화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간혹 자기네 나라 음식을 해서 싸와서 나눠먹기도해서 본 건물에 있었을 땐 먹을게 아주 풍부했었어요 ㅋㅋㅋㅋㅋㅋ



입사한지 일주일만에 간 Staff retreatment ㅋㅋㅋㅋ 처음엔 어색했는데 어느샌가 같이 배드민턴도 치고 줄다리기도하고... 재밌게 놀고있었어요.%EC%8B%A0%EB%82%A8%20%EB%8F%99%EA%B8%80%EC%9D%B4

작년엔 못갔는데 올해엔 갈거예요.


입사한지 이주가 채 안되서는.. 다른 프로그램에서 Tenants 들을 데리고 여행을 가는거에 꼽사리(?)를 껴서 갔어요 ㅋㅋㅋ

우리 매니저는 아주 수영복 제대로 챙겨와서 그 누구보다 즐겁게 놀더라구요 ㅋㅋㅋㅋㅋ

저는 수영은 하고싶지 않아서 아이들과 모래장난을 치며 인어를 수십명을 만들었어요 %EC%A2%8B%EC%95%84%20%EB%8F%99%EA%B8%80%EC%9D%B4



또 Fall Carnival이나 Summer Grill and Chill같은 행사에 우리 단체 사람들이 volunteer로 참석하는 일이 많아요. 그럴땐 5~10불 정도가 들어있는 Tim horton 카드도 받고 바베큐 파티도하고... volunteer이라고는 하는데 다른 단체에서도 사람들이 많이와서 친목을 다지는 느낌이라 딱히 할일은 없어요. 즐기면 됩니다! %EC%8B%A0%EB%82%A8%20%EB%8F%99%EA%B8%80%EC%9D%B4



적어도 초장기에, 본 건물에서 일했을 땐 일도 쉽고 사람들도 다 나이스하고 지원도 많았던 편인데다 아이들 수도 많지 않아 거의 놀며 버는 식이었어요.


이때는 몰랐지요... 그런 곳에서 심심해서 만들었던 몇가지 도큐먼트들과 싹 바꾼 인테리어들, 그리고 포스터랑 엑셀작업들이 절 이렇게 힘들게 할지...!!

위니펙에 온지 벌써 3개월 쯤 되었을 때의 일이예요.


처음 한달은 엄마도 오셨겠다 대놓고 놀았고, 그 다음은 한달은 이삿짐정리 및 준비, 인맥관리등을 핑계로 또 팅자탱자 놀면서 Immigrant Center만 심심풀이로 왔다갔다 하면서 흥청망청 시간을 보냈지요 ㅋㅋㅋㅋㅋ


그러고나서 구직을 제대로 마음 먹고 비로소 레쥬메를 업데이트를 하고 돌릴 곳을 알아보기 시작했어요.


강아지를 키우면서 혼자 집에 놔두는 것을 미안하게 생각하는 터라, 동생이 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집에서 가까운 데이케어중 한곳에 취직을 하겠다며 레쥬메를 딱 한장 뽑아들고 무작정 두개 중 더 집에 가까운 쪽으로 갔어요.


집에서 가깝기는 무지하게 가까워서 걸어서 5분, 뛰면 2분안에도 가는 곳이었지요. 다운타운 한 가운데에 있었으니까요. 


그때는 솔직히 데이케어가 다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했어요. 학교에서 실습만으로도 4군데의 데이케어를 경험해봤고, volunteer나 일을 하면서 또 3곳을 더 돌아봤으니 그 정도면 캐나다 데이케어는 다 그렇게 굴러가나보다~ 했지요.


실제로는 인터뷰를 보면서도 잘못된 점을 하나도 느끼지 못했고, 결국 그곳에 취직해서 일을 했으니 한참 부족하던 햇병아리 시절의 자만이죠ㅎㅎㅎ


그 데이케어의 이름은 Kids & Company 위니펙 지점입니다.



데이케어의 시설 자체는 나쁜 편은 아니었어요. 다만 내가 쉽게 붙었듯, 사람이 쉽게 들어오고 쉽게 나가는 환경이었던게 문제인거죠.



것보기에는 예쁘고 아이들에게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되었지만, 사립이다보니 본사에서 들어오는 지원에 따라 어떤 달은 환경이 좋고, 어떤 달은 나쁠 수도 있었어요. 또 그동한 경험했던 공립이나 non-profit 데이케어와는 다르게 이익을 추구한다는 것이 많이 느껴지는 환경이었지요.


첫째로,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장난감이 부족했어요. 그 전에 경험했던 데이케어들은 장난감 창고가 하나씩은 꼭 있었거든요. 그곳에서 아이들의 흥미에 맞게 장난감을 수시로 바꿔주고 새로 들여와서 매달 초에는 extra 선생님들이 장난감을 보수하고, 정리하고, 입고된 장난감의 수량을 점검하는 등의 행사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곳에 매달 들어오는것은 휴지, 페이퍼타올, 물비누, 장갑 등등... 그나마도 교실보다 학부모들이 이용하게되는 게스트 화장실에 우선비치되었어요. 


그나마 얼마 없는 장난감도 아이들의 연령에 맞지 않았어요. 학생수가 많은 Preschool반은 어땠는지 잘 모르겠지만 내가 있던 Infant반은 말이 Infant지 Toddler와 Infant가 함께 있었기 때문에 위험요소도 꽤 큰 편이었어요. 위니펙은 데이케어가 다 Infant+Toddler 형식인가? 생각했었는데, 적어도 두 연령대가 함께 있기에는 장난감이나 환경이 더 어린아이들에게 가혹한 편 이라고 생각해요. 뭐, 지금 6개월~6세를 한 반에 넣고 돌보고 있기 때문에 지금보다는 아이들 케어가 쉬웠겠지 만요 ㅋㅋㅋㅋㅋㅋ


바닥은 딱딱하고 미끄러워 이제 막 걷기 시작하는 아이들은 수시로 넘어져 입술과 잇몸에 상처를 입었어요. 그나마 있는 놀이매트는 발로 툭 치거나 힘주어 밀면 쉽게 밀려났기 때문에 그다지 도움이 되진 않았어요.


뿐만아니라 예전 데이케어들은 아이들의 부모님, 가정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할하고 아이를 같이 돌보고, 키운다는 공동육아의 느낌 등등 서로 데이케어나 가정내 있었던 일을 스스럼없이 공유하고, 대화하는 것을 귀찮게 여기지 않는 가족과도 같은 친근한 느낌이 많았는데 이곳은 잠시 아이를 돌봐주는 사무적이고 서비스적인 느낌이 강해, 직업에 대한 프라이드를 느끼기 힘들어졌어요. 이건 지금도 느끼는 건데, 아무래도 위니펙이 ECE 대우가 많이 안좋은것 같긴해요. 온타리오는 RECE만이 보육교사를 할 수 있어서 전문직으로 인정받는 것에 반해, 이곳은 40시간 교육만 듣고도 CCA라는 보조교사를 할 수 있어서 인진 모르겠네요.


여하튼 선생님들도 아이의 흥미와 적성이 무엇인지 관찰하기보다는 CCTV로 우리를 관찰하는 부모님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아이가 그저 다치지 않게 전전긍긍하는 모양새였어요. 그만큼 아이들을 교육하는 데이케어라기 보다 부모들의 편의를 봐주는 서비스센터 내지는 베이비시터의 느낌이 강했어요.


선생님을 고용하고 배치하는 것도 이상했어요. 경력이 하나도 없는 생판 초보인 선생님 두명을 한 반에 넣는 것이 과연 아이들과 학부모에게 신뢰를 줄 수 있겠어요? 게다가 오리엔테이션때 확실한 policy와 health, safety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없었기 때문에 무언가 잘못되면 그때서야 policy 얘기를 꺼내며 화를내기 시작했지요. 모르는것을 어떻게 지키라는 건지... director의 역량이 심하게 부족하다는 티가 많이 났고, 그 때문에 센터 곳곳에서 크고작은 문제가 발생했어요. 일을 하며 지내면 지낼수록 막장이네;; 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지요. 지금은 그 director가 결국 짤렸다고 하지만.. 여전히 문제가 많은 곳입니다 ㅠㅠ



 

하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제가 이직을 결정한 건 아니었어요.


사실 굳이 캐나다까지 와서 유아교육을 배우기로 결정한 이유이기도 하지만, 캐나다는 다인종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인종차별이 만연한 미국이나 호주같은 곳과는 달리 서로 어우러져 살아가는 점이 흥미로웠거든요. 모든 아이들은 다르고, 그 다름을 존중받아야한다는 생각은 배우면 배울수록 깊어졌고, 더 많은 공부와 연구를 통해 아동교육에 대해 얘기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그렇게 다른 아이들을 존중하는 것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데이케어에서 잡오퍼가 들어오자마자 이직을 결정했어요. 이렇게 원래 다니던 데이케어에 대한 불만이 피어오르던 시점에서!!


그것도 시급도 더 높고, 대우도 더 좋았지요. %EA%BF%88%EB%BB%91%EA%BF%88%EB%BB%91 짬이 좀 쌓인 지금은 그것도 불만이지만! ㅋㅋㅋㅋㅋ 


영주권의 문제에서는 조금 걸리는게 있었지만, 아무래도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 이직을 결정하게 되었다. 결정적으로 아주 옳은 선택이었어요. 처음엔 영주권 지원이 힘들것 같다던 센터에서, 영주권 지원을 해주겠다고 없던 스팟도 만들어 내 줄 정도였으니까요.


다른 선생님들은 모두 좋았기 때문에 헤어지는건 아쉬웠어요. 내가 이제 간다고 하니 거의 울듯한 표정으로 호감있는 사람이 떠나는 것은 슬픈일이라고 해주던 선생님, 연락하자며 페이스북 이름을 알려주는 선생님, 술을 먹자 또 보자, 언제든지 와라 하는 선생님들 모두 따뜻하고 좋은 사람이었어요. 그래서 더 슬펐다. 본사에서 지원을 조금만 더 잘해주고, 신경을 써준다면. Director가 좀 더 제대로 된 사람이었다면 분명 일하기에도, 아이들이 다니기에도 좋은 데이케어가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죠.




아이들에게 미안해서 얼마되지 않는 월급을 털어 장난감을 사주고, 삭막한 반을 꾸미기 위해 자비와 토요일에도 시간을 내어 아기자기하게 교실을 꾸미는 선생님들에게는 존경스러운 마음이 들지 않을 수가 없어요.


또 그에 보답하는 듯 아이들이 선생님의 이름을 어설프게 부르고 웃어주며 안아달라 팔을 뻗는 것을 보면 사랑스럽기 그지없지요.



생일을 맞아 선생님과 친구들을 위해 막대케이크를 사온 학부모님. 


(무언가를 친구들과 나눠먹고 싶다면 적어도 ingredients가 써 있는 음식을 가져가야합니다! 하지만 알러지가 있는 아이들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아마 대부분의 센터는 외부음식을 반입하지 않을거에요)



이런것들도 다 좋은 경험이지요. ㅎㅎ






<Social (사회적 발달)>


1. Social Interest (사회적 관심) - 사물이나 동물보다 사람의 얼굴을 더 선호함. 어른을 향해 웃어보임. 어른을 지긋이 바라봄. 놀아줄 어른을 찾음, 팔을 뻗어 안아달라는 의사를 표현. 친구들을 관찰함.

: 아이의 신체적 발달에 맞추어 놀아줍니다. 이것은 아이가 놀이를 할 때에 존중받는 하나의 파트너로서 인정받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2. Imitation (흉내) 어른의 행동을 흉내냄. 인형을 보살피는 등 간단한 흉내놀이를 함.

: 팔을 크게 벌려 "크다!" 라고 말합니다. 잠시 시간을 두고 아이를 똑바로 쳐다보고 한번 더 합니다. 아이가 따라하면 칭찬합니다. '날 따라해 봐요 이렇게' 놀이는 아이의 관찰능력을 길러주는 좋은 방법입니다.


3. Simple Turn Taking (순서 지키기) 까꿍 놀이와같이 1:1 게임을 할 수 있음.

: 얼굴을 반투명하거나 비치는 재질의 스카프로 감쌉니다. 걷어내며 "까꿍!" 이라고 외칩니다. 스카프로 감싸고 잠시 시간을 둔 뒤 똑같이 한 번 더 따라합니다. 몇번 더 하면 아이가 놀이를 이해하고 직접 스카프를 걷어냅니다. 그럴때 "까꿍!" 이라고 외쳐주고 스카프를 두른 뒤, 아이가 벗겨내는 순서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간단한 게임이 주고받는 것, 순서를 지키는 것에 대한 이해심을 길러줍니다.


4. Maintaining Connection Across Space (떨어져서도 관계 유지) - 제스쳐나 목소리 등을 통해 멀리 떨어진 어른과도 소통함.

: 아이의 곁을 지나쳐 다닐 때에 눈을 맞추어줍니다. 기거나 걷는 등 움직일 수 있는 아이들은 어른과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소통이 가능합니다. 떨어져있어도 아이를 지켜보는 것 만으로도 아이는 어른과 연결되어있다는 것을 느끼고 더 편안하게 주변을 탐색합니다.



<Emotional (감정적 발달)>


1. Expression of Emotion (감정 표현) - 편안함과 불편함을 표현할 수 있음. 즐거움과 불쾌함을 표현함. 화, 불안, 두려움, 슬픔, 기쁨, 흥분 등의 감정을 표현함. 껴안기 등을 통해 애정을 표현함.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내기 시작함. 부모와의 attachment (애정)을 확연하게 드러냄.

: 아이가 탐색을 할 때에 어떤 감각과 대근육 능력을 사용해 즐기는지 관찰합니다. 아이마다 스스로 진정하는 법이 다릅니다. 감각능력과 운동능력은 아이들이 스스로 진정하는 방법에대한 개인차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예를들어 만약 아이가 스스로를 진정시키기위해 혹은 다른 것에 집중하기 위해 시각을 주로 사용한다면 흥미로운 시각적 자극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아이가 스스로 진정하는 능력을 기르는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2. Self Regulation (스스로 진정하는 능력) - 낯익은 어른의 곁에서 편해지거나 진정함. 엄지를 빠는 등의 행위로 진정함. Secure relationship (안정적 관계)안에서 스트레스나 과한 자극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음.

: 아이가 스스로 진정하기 위해 하는 행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아이의 스트레스에 반응합니다. 이 회복이 어른에 의해 지지된다면 아이와 어른과의 애착형성이 강화됩니다. 아이는 더 빨리 회복할 수 있게 되며, 강한 감정또한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3. Sense of self (자기 자신에 대한 감각) - 손가락을 빨고, 스스로의 손을 관찰함. 친근한 사람에 의해 안기는 것을 선호함. 낯을 가리기 시작함. 성취감을 느끼기 시작함. 선생님/부모님 등 돌봐주는 사람의 체크를 통해 더 자신있게 놀이를 할 수 있음. 어떠한 일을 발생시키는 원인에 대한 이해도가 늘어나기 시작하나 아직 자신의 행동으로 인한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부족함.

: 아이가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될 때,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안아줍니다. 먼저 그들을 바라보고, 천천히 다가갑니다. 이것은 아이가 새로운 사람을 만날때에 안정감을 느끼고, 특정 사람에 대한 선호도를 표현할 수 있는 자신감을 심어줍니다.


4. Empathy (공감) 다른 사람의 고통을 인지하고 반응함. 어루만지는 것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위안을 할 수 있음.

: 아이의 고통에 반응하고 위로해줍니다. 이것이 공감의 가장 기초토대를 형성합니다.


5. Agency (매개체)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기 시작.

: 아이가 웃어준다면 똑같이 웃어주세요. 아이가 안아달라고 팔을 벌리면 안아주세요. 아이가 소통하려는 시도를 할 때에 받아준다면, 아이는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아가게 됩니다.



<Communication, Language and Literacy (언어적 발달)>


1.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비언어적 소통 능력)


Referencing (참고): 보호자와의 눈맞춤을 통해 확인. 

: 아이가 놀다 멈추고 어른을 바라보면, 아이의 놀이에 대해 코멘트 해줍니다. 이것을 통해 아이가 탐색하는 것을 격려하고, 아이가 안심감을 느낄 수 있게 도와줍니다.

Joint Attention (공통 관심사): 어른이 무엇을 보고 있는지 관찰. 물건을 가르키는 것으로 어른의 관심을 돌림. 어른이 보는 것을 함께 봄. 어른과 함께 사진이나 책을 봄. 

: 아이의 시선을 공유하세요. 아이가 보는 것을 같이 봅니다. 이것은 아이의 소통능력을 강화시킵니다.

Gesture (몸짓): 머리를 젓거나 끄덕이는 것으로 의사를 표현함. 손을 흔들어 인사 함. 물건을 설명하기 위해 몸짓을 사용함.

: 아이가 집에서 쓰는 몸짓을 사용함으로서 소통합니다. 이것은 특히 감정적 발달을 지지하는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집에서 주로 쓰는 몸짓을 쓰는 것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몸짓의 의미를 공유할 수 있게 합니다.

Intentional Communication (의도적 소통): 목적 전달을 위해 의미가 있는 몸짓을 사용합니다.

: 아이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찰합니다. 아이의 몸짓을 보고 정확하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해 해석합니다. 이것은 아이의 언어적 발달과 탐색을 돕습니다.

Simple turn taking (간단한 순서 지키기): 까꿍놀이와 같은 간단한 순서게임을 함. 묻고 답하는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낌.

: "공이 어디있지?" 와 같은 간결한 문장을 사용해 문답놀이를 합니다. 묻고 난 뒤 잠시 시간을 두고 아이를 지켜봅니다. 이 놀이는 영아들이 소통을 통해 차례를 지키는 사회적 신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적합합니다.


2. Receptive Language Skills (언어 수용 능력) - 사람의 목소리에 반응하기 시작하며 익숙한 소리와 아닌 소리를 구별할 수 있음. 6개월 쯤, 모국어를 구별해 냄. 말로 하는 요구에 반응함. 신체 부위나 사물의 이름을 인지함. 부르는 사물을 가르킴.

: 아이와 놀아줄 때 아이의 이름을 불러주세요. 아이의 놀이에 집중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3. Expressive Language Skills (언어 표현 능력)


Signaling (신호): 고통을 알리기 위해 움. 다른 사람을 보고 팔을 벌리거나 가슴을 들어올리는 등 안길 준비를 함.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팔을 뻗어 다른 사람을 초대함.

: "놀러갈 준비 다 됐다. 가자." 와 같은 말로 아이의 신호를 해석하세요. 아이의 신호에 반응하고 해석해주는 것은 아이가 몸짓과 언어를 연결시킴으로서 언어능력과 소통능력을 길러줍니다.


Vocalizing and Babbling (목소리내기와 옹알이): 사회적 접촉시 목소리를 냄. 많은 소리를 사용해 옹알이를 함.

: 아이가 "바, 바!" 라고 할때 똑같이 "바, 바!" 라고 따라하는 등 아이의 옹알이를 흉내내세요. 이것은 아이가 또 한 번 말을 하거나, 더 다양한 소리를 내도록 시도할 수 있게 격려하는 행동입니다.


One word (한 단어): 소통을 위해 한 단어를 사용함.

: 아이가 "공!" 이라고 한다면 "공이 어디있을까?" 라고 말하는 식으로 아이가 표현하는 언어에 더 폭넓게 반응하세요. 아이가 계속 말하고 언어 표현 능력을 발전 시키는데에 도움이 됩니다.


Words with Gesture (몸짓과 단어): 몸짓과 함께 단어들을 말한다. 몸짓보다 말을 더 사용하게 된다.

: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을 가르킨다면, 장난감을 주며 이름을 얘기해줍니다. "공이 가지고 싶었어? 여기있네~". 아이의 몸짓에 반응할때 행동과 언어를 같이 사용하면 소통능력을 강화시키는 것 뿐 아니라 단어를 통해 언어 능력과 더 의미있는 문맥을 만드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Vocabulary (어휘): 언뜻 들은 말들을 따라한다. "나", "너" 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 아이가 "공" 이라고 한다면 "파란 공~" 이라고 말하는 식으로 아이의 한 단어-소통법을 한 단계 더 넓혀주세요.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데에 더 큰 도움이 됩니다.



+ Recent posts